운요 (항공모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요는 1938년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여객선으로 기공되어 1940년 완공되었으나, 1941년 일본 해군에 징용되어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었다. 1942년 5월 특설 항공모함으로 준공된 후, 주로 항공기 수송 임무를 수행하며 태평양 각지를 오갔다. 1944년 1월 미 잠수함의 공격으로 손상되어 수리 후, 9월 호송 임무 중 미 잠수함 바브의 공격으로 침몰했다. 운요는 17,830톤의 기준 배수량, 180.2m의 전장, 21.4노트의 속도를 가졌으며, 12.7cm 및 2.5cm 대공포를 탑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선박 - 독일 전함 티르피츠
독일 전함 티르피츠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해군이 건조한 비스마르크급 전함의 2번함으로, 자매함 비스마르크와 함께 독일 해군력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나 실제 해전에서 큰 활약은 없었고 연합군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남아 영국 해군 전력을 묶어두다 1944년 격침되었다. - 1939년 선박 - USS 와스프 (CV-7)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의 제약 속에서 요크타운급 항공모함을 기반으로 설계된 미국의 항공모함 USS 와스프 (CV-7)은 부족한 장갑과 어뢰 방어 능력에도 불구하고 몰타섬 전투기 수송 작전과 과달카날 전역에 참전했으나 일본 잠수함의 공격으로 침몰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항공모함 - 소류 (항공모함)
소류는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항공모함으로, 1937년 취역하여 진주만 공격, 미드웨이 해전 등에 참여했으나 1942년 미 해군 공격으로 침몰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항공모함 - 가가 (항공모함)
가가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항공모함으로, 원래 전함으로 건조되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었으며,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미드웨이 해전에서 침몰했다.
| 운요 (항공모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함명 | 운요 (雲鷹, Un'yō) |
| 이전 함명 | 야와타 마루 (八幡丸, Yawata Maru) |
| 건조 | 일본 |
| 함선 경력 | |
| 국가 | 일본 제국 |
| 함명 | 야와타 마루 |
| 운영 | [[파일:NYK Line house flag.svg|border|20px]] 니폰 유센 |
| 건조 |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일본 |
| 조선소 번호 | 751 |
| 기공 | 1938년 12월 14일 |
| 진수 | 1939년 10월 31일 |
| 완공 | 1940년 7월 31일 |
| 취역 | 1940년 |
| 퇴역 | 해당 없음 |
| 운명 | 1941년, 일본 제국 해군으로 이관 |
| 비고 | 해당 없음 |
| 해군 경력 | |
| 국가 | 일본 제국 |
| 개명 | 1942년 8월 31일, 운요 |
| 명명 유래 | 해당 없음 |
| 취역 | 1942년 5월 31일 |
| 퇴역 | 1944년 9월 17일 |
| 제적 | 해당 없음 |
| 운명 | 1944년 9월 17일, USS 바브(SS-220)에 의해 격침 |
| 비고 | 해당 없음 |
| 특징 (개조 후) | |
| 함급 | 대요급 호위 항공모함 |
| 배수량 | 기준: 17,830 톤 만재: 20,000 톤 |
| 길이 | 전체 길이: 591 피트 4 인치 (180.2 미터) |
| 폭 | 73 피트 10 인치 (22.5 미터) |
| 흘수 | 25 피트 5 인치 (7.7 미터) |
| 동력 | 25,200 축마력 (18,800 킬로와트) |
| 보일러 | 4 x 수관 보일러 |
| 추진 | 2 x 축 2 x 가마폰 기어 증기 터빈 |
| 속력 | 21 노트 |
| 항속 거리 | 18 노트로 6,500 또는 8,500 해리 |
| 승무원 | 850명 |
| 무장 | 4 x 2연장 12.7 센티미터 40 구경 89식 해군포 4 x 2연장 96식 25 밀리미터 대공포 |
| 항공기 | 30대 |
| 비고 | 해당 없음 |
| 일본어 정보 (艦艇) | |
| 명칭 | 야와타 마루 / 운요 |
| 이미지 설명 | 트럭에서 요코스카로 향하는 운요. (1943년 5월) |
| 운용자 | 일본 제국 해군 |
| 건조소 |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 (여객선 건조) 구레 해군 공창 (항공모함 개조) |
| 계획 | 해당 없음 |
| 발주 | 해당 없음 |
| 기공 | 1938년 12월 14일 |
| 진수 | 1939년 10월 31일 |
| 준공 | 1940년 7월 31일 "야와타 마루"로 준공 1942년 5월 31일 항공모함으로 개조 완료 |
| 취역 | 해당 없음 |
| 제적 | 1944년 11월 10일 |
| 최후 | 1944년 9월 17일 전몰 |
| 모항 | 구레 |
| 건조비 | 해당 없음 |
| 개명 | 야와타 마루 → 운요 |
| 요목 주 | 항공모함 시 |
| 종별 | (화객선 →) 특설 항공모함 항공모함 |
| 함급 | 대응급 |
| 기준 배수량 | 17,830 영톤 |
| 공시 배수량 | 20,000 톤 |
| 만재 배수량 | 21,262.80 톤 |
| 전장 | 180.24 미터 |
| 수선장 | 약 173.70 미터 |
| 수선간장 | 168.00 미터 |
| 전폭 | 23.70 미터 |
| 수선폭 | 22.50 미터 |
| 흘수 | 공시 평균 8.00 미터 만재 평균 8.26 미터 |
| 깊이 | 23.50 미터 (비행 갑판까지) |
| 비행 갑판 | 길이: 162.0 미터 x 폭: 23.5 미터 1944년 길이 172.0 미터로 연장 엘리베이터 (13x12 미터) 2기 |
| 추진 | 2축 x 140 rpm, 직경 5.000 미터 |
| 주기관 | 미쓰비시 체리식 (고저압) 터빈 2기 |
| 출력 | 25,200 마력 |
| 보일러 | 미쓰비시식 수관 보일러 4기, 보조 보일러 2기 |
| 속력 | 계획 21.0 노트, 1944년 5월 조사 21.48 노트 |
| 연료 | 계획 2,250 톤, 1944년 5월 조사 2,360 톤 |
| 항속 거리 | 8,500 해리 / 18 노트 |
| 승무원 | 계획 승무원 747명 |
| 탑재량 | 91식 어뢰 36개 폭탄 800kg 72개, 250kg 72개, 60kg 240개, 30kg 연습용 90개 비행기용 경질유 190톤 |
| 병장 | 개조 완성 시 (야와타 마루) 12센티미터 단장 고각포 4기 25밀리미터 연장 기총 4기 최종 시 12센티미터 단장 고각포 6기 25밀리미터 3연장 기총 8기 25밀리미터 연장 기총 2기 25밀리미터 단장 기총 36정 13밀리미터 단장 기총 10정 폭뢰 투하대 또는 폭뢰 투사기, 폭뢰 10개 |
| 탑재정 | 계획 12미터 내화정 1척, 12미터 내화 런치 1척, 9미터 커터 2척, 13미터 특형 운화선 1척, 최종 시 내화정 1척, 런치 1척, 대발 2척 |
| 탑재기 | 계획 (상용+보용) 0식 함상 전투기 9+2기, 97식 함상 공격기 14+2기, 합계 23+4기 |
| 레이더 | 최종 시 21호 전탐 1기, 22호 전탐 (추정 1기), 13호 전탐 2기, 역탐 |
| 소나 | 최종 시: 0식 수중 청음기 1기 |
| 기타 | 특기 없는 경우는 계획 요목, 객선 시의 요목은 신전환급 화객선을 참조 |
2. 역사
운요는 닛타마루급 여객선 2번함 야하타마루(八幡丸|야하타마루일본어)로 건조되어, 1940년 7월 31일 준공 후 여객선으로 1년간 운용되었다. 1941년 일본 제국 해군에 징용되어 1942년 5월 31일 다이요급 항공모함 2번함으로 개조, 해군 목록에 정식 등록되었다.[39]
개조 후, 운요는 느린 속도로 인해 주로 항공기 수송 임무를 맡았다. 1942년 8월 31일, 특설 항공모함 야하타마루에서 군함 운요로 개명되었고, 트럭 제도에 17회, 라바울 방면 2회, 동남아시아 방면 2회 등 항공기 수송을 실시했다.[43] 1943년 11월 15일 해상 호위 총사령부가 설립되면서 다이요급 항공모함은 이 부대에 편입되었다.[33][44]
1944년 1월 19일, 미국 잠수함 하닥의 어뢰 공격으로 대파되었으나,[32][128] 요코스카로 귀환하여 수리를 받았다. 8월 24일, 히73선단 호위를 시작으로 호위 항공모함 임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9월 17일, 히74선단 호위 중 남중국해에서 미국 잠수함 바브의 뇌격을 받고 침몰했다.[39][40][46][47]
운요의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2. 1. 건조 및 민간 운용 (1938년 ~ 1941년)
운요는 원래 호위항공모함으로 개조될 목적으로 설계된 닛타마루급 여객선 2번함 ''야하타마루''(八幡丸)였다. 1939년 10월 31일에 진수, 1940년 7월 31일에 준공되어 여객선으로 활동했다.[1][2] 1년 후, 일본 제국 해군이 매입하여 1941년 11월 21일에 다이요급 항공모함 2번함으로 개조를 시작했다.[1]
''야하타마루''는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일본 우선 회사(NYK)를 위해 건조되었다.[1] 1938년 12월 14일에 기공되었고, 선거 번호는 751번이었다.[1][2] 1939년 10월 31일에 진수되었고, 1940년 7월 31일에 완공되었다.[1][2] 일본 제국 해군은 보조 항공모함으로 전환하기 위해 ''닛타마루''급 선박 3척 모두에 보조금을 지급했다.[3] 원래 유럽으로 운항할 예정이었지만, 1939년 9월에 발발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태평양으로 운항이 제한되었다.[4]
톤의 야하타마루는 의 길이, 선폭은 , 화물창 깊이는 였다.[5] 순톤수는 9,379톤이었다.[5] 2세트의 기어식 증기 터빈으로 구동되었으며, 각 터빈은 4개의 보일러에서 생산된 증기를 사용하여 하나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구동했다. 터빈의 총 출력은 로,[6] 평균 속도는 ,[2] 최대 속도는 였다.[6]
야하타마루는 1940년 7월 31일에 화객선으로 준공된 후 약 1년간 상선으로 운용되었다.[39] 1941년 6월 중순, 중화민국 (왕징웨이 정권)의 왕징웨이가 대일본제국을 방문하게 되어, 야하타마루는 "주석선"이 되었다.[58] 6월 13일, 왕징웨이 일행은 상하이 항에서 야하타마루에 승선하여 다음 날 일본으로 향했다.[59] 6월 17일, 야하타마루는 고베 항에 도착했다.[61]
1941년 11월 22일, 일본 해군은 야하타마루를 징용했다.[63] 11월 25일, 특설 항공모함으로 구레 진수부 소관이 되었다.[64]
야하타마루의 연표는 다음과 같다.
| 날짜 | 사건 |
|---|---|
| 1938년 12월 14일 |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기공. |
| 1939년 10월 31일 | 진수. |
| 1940년 7월 31일 | 여객선 야하타마루로 준공. |
| 1941년 11월 5일 | 징용 결정. |
| 1941년 11월 25일 | 특설 항공모함 야하타마루로 구레 진수부 소관.[64] |
2. 2. 항공모함 개조 (1941년 ~ 1942년)
1938년 12월 14일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기공되어, 1939년 10월 31일에 진수되었다. 원래 닛타마루급 여객선 2번함 ''야하타마루''(八幡丸|야하타마루일본어)로 건조되었으며, 1940년 7월 31일에 준공되어 여객선으로 사용되었다.[34]1941년 11월 5일 일본 제국 해군에 징용되었고, 11월 25일부터 구레 해군 공창에서 다이요급 항공모함 2번함으로 개조되기 시작했다.[64] 1942년 5월 31일에 개조가 완료되어 해군 목록에 정식으로 등록되었다.[53][70]
개조 후 ''운요''는 기준 배수량 약 18116118.01kg, 정상 배수량 약 20320940.00kg톤, 전체 길이 약 180.14m, 너비 약 22.25m, 흘수 약 7.62m였다.[9] 비행 갑판은 길이 약 171.91m, 너비 약 23.47m였고, 중앙선에 두 개의 항공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약 91.44m 길이의 단일 격납고를 갖추고 있었다.[10] 예비기를 포함하여 총 30대의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었지만,[3] 어레스팅 기어는 장착되지 않았다.[10]
개조로 인해 함선의 속도는 21.4kn로 제한되었고, 18kn의 속도로 8500nmi의 항속 거리를 가졌다.[1] ''운요''의 승무원은 총 850명의 장교와 사병으로 구성되었다.[11]
함선에는 8문의 12.7cm 89식 고각포와 8문의 2.5cm 96식 기관포가 장착되었다.[12] 1943년 초, 2.5cm 대공포가 증강되었고, 21식 대공 레이더가 비행 갑판에 접이식으로 설치되었다.[12] 1944년에는 경(輕) 대공 무장이 총 64문으로 증가했다.[12]
2. 3. 항공기 수송 임무 (1942년 ~ 1944년)
''운요''는 1942년 7월부터 10월 사이에 일본에서 트루크, 사이판, 라바울로 세 차례 항해했으며, 그 중 9월 11일에는 라바울에 미쓰비시 A6M 제로 전투기 10대를 전달했다.[13] 이후 트루크, 필리핀, 팔라우, 네덜란드령 동인도 사이에서 항공기를 수송하는 더 복잡한 항해를 했다.[13] 10월 28일 요코스카를 출발한 ''운요''는 12월 2일 자바 수라바야에서 제11 전투 연대를 태워 11일 후 트루크에 전달했다.[13] 12월 24일 수라바야로 돌아와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IJAAF)의 제1 전투 연대 소속 항공기 33대를 싣고 1943년 1월 초 요코스카로 돌아왔다.[13]요코하마에서 짧은 개조를 거친 후, 2월 1일 IJAAF의 제208 경폭격 연대 소속 가와사키 Ki-48 "릴리" 폭격기 36대를 싣고 7일에 트루크에 전달했다.[13] 이후 몇 달 동안 ''운요''는 요코스카와 트루크 사이를 여러 번 왕복했으며, 때로는 자매선들과 동행하기도 했다.[13] 7월 10일, 제201 해군 항공대 및 제552 해군 항공대 일부를 트루크에서 싣고 보조 순양함 ''아이코쿠 마루''와 동행했을 때, 미국 잠수함들의 공격을 받았다.[13] 이 잠수함들은 ''운요''와 ''아이코쿠 마루''에 명중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 어뢰에 맞은 배는 ''아이코쿠 마루''였다.[13]
''운요''는 남은 기간 동안 일본과 트루크 사이에서 수송 임무를 계속 수행했으며, 9월 30일부터 10월 9일까지 구레 해군 조병창에서 짧은 개조를 받았다.[13] 11월 30일, 자매선 ''주요''와 경항공모함 즈이호와 함께 트루크를 출발했다.[13] 이 항공모함들은 중순양함 마야와 구축함 4척의 호위를 받았다.[13] ''주요''와 ''운요''는 각각 침몰한 잠수함 스컬핀에서 포획한 승무원 21명과 20명을 태우고 있었다.[13] 12월 4일 00시 10분, ''주요''는 세일피시가 발사한 어뢰에 선수에 명중되어 선수가 날아가고 비행 갑판의 앞부분이 붕괴되었다.[13] 배의 선장은 내부 격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요코스카를 향해 반속으로 후진하기 시작했다.[13] 05시 55분, ''주요''는 ''세일피시''의 어뢰 공격을 다시 받아 엔진실에 두 발이 명중되어 엔진이 고장났다.[13] ''마야''와 구축함 1척이 와서 지원했으며, ''운요''는 자매선을 예인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이후 요코스카로 계속 가라는 지시를 받았다.[13] ''운요''는 12월 5일 연합 함대에서 대호위 사령부로 이관되었지만, 항공기와 물자를 트루크로 계속 수송하면서 임무에 큰 변화는 없었다.[13]

1944년 1월 19일, 요코스카로 향하던 중 해독이 발사한 어뢰 3발을 맞았지만, 그 중 2발만 폭발했다.[13] 선수가 심하게 손상되어 아래로 처졌고, 사이판의 가라판 앵커리지에 대피하여 응급 수리를 했다.[13] 1월 23일 할리벗의 후속 공격은 격퇴되었다.[13] 4일 후 수리가 완료된 ''운요''는 2월 2일 잠수함 거전과 소리의 공격을 구축함 3척의 호위를 받으며 느린 속도로 일본을 향해 출발했다.[13] 이틀 후 악천후를 만나 손상된 선수 일부가 떨어져 나가 비행 갑판의 앞부분이 붕괴되었다.[13] ''운요''는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선미부터 항해하기 시작했고 8일에 요코스카에 도착하여 6월 28일까지 영구 수리를 시작했다.[13]
작업 후, 8월 14일 제1 해상 호위 부대에 배속되었다.[13] 8월 25일, 대잠 순양함 가시이와 다른 호위함 6척과 함께 일본 기타큐슈시 모지구를 출발하여 호송대 HI-73의 일부를 호위했다.[13] ''운요''는 이번 항해에서 91 비행대의 나카지마 B5N "케이트" 어뢰 폭격기 10대와 가와사키 Ki-3 복엽기 훈련기 6대를 탑재하고 8월 25일 싱가포르에 도착했다.[13]
9월 11일, 같은 호위 그룹이 싱가포르를 출발하는 호송대 HI-74를 보호했다.[13] 9월 17일 00시 37분, ''운요''는 바브가 발사한 어뢰 2발을 맞았는데, 한 발은 엔진실에 맞아 엔진이 파괴되었고, 다른 한 발은 조타실에 맞았다.[13] 밤새 폭풍이 불었고 파도가 항공모함의 선미를 강타하여 내부 격벽이 붕괴되었다.[13] 07시 30분까지 ''운요''는 우현으로 심하게 기울어졌고 승무원들은 배를 버리라는 명령을 받았다.[13] 25분 후, 홍콩에서 220nmi 떨어진 동남쪽, 지점에서 침몰했으며, 761명의 생존자가 호위함 2척에 의해 구조되었다.[13] 배에 탑승한 승객 수가 자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사망자 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13] ''운요''는 45명의 장교와 781명의 승무원을 태웠다고 보고했지만, 일부 자료에 따르면 총 1,000명의 승무원과 승객을 태웠다고 하며, 다른 자료에 따르면 약 1,000명의 승객을 태웠으며 그 중 800명이 사망했다.[13]
2. 4. 호위 항모 임무 및 침몰 (1944년)
1944년 1월 19일, 요코스카로 향하던 ''운요''는 해독이 발사한 어뢰 3발을 맞았지만, 그 중 2발만 폭발했다.[13] 선수가 심하게 손상되어 아래로 처졌다. 응급 수리를 위해 사이판의 가라판 정박지에 대피하는 동안, 1월 23일 할리벗의 후속 공격은 격퇴되었다.[13] 4일 후 수리가 완료된 ''운요''는 2월 2일 잠수함 거전과 소리의 공격을 구축함 3척의 호위를 받으며 느린 속도로 일본을 향해 출발했다.[13] 이 호송선은 이틀 후 악천후를 만나 손상된 선수 일부가 떨어져 나가 비행 갑판의 앞부분이 붕괴되었다.[13]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운요''는 선미부터 항해하기 시작했고 8일에 요코스카에 도착하여 6월 28일까지 영구 수리를 시작했다.[13]작업 후, 이 배는 8월 14일 제1 해상 호위 부대에 배속되었다.[13] 8월 25일 일본 기타큐슈시 모지구를 출발하여 대잠 순양함 가시이와 다른 호위함 6척과 함께 HI-73 호송대의 일부를 호위했다.[13] ''운요''는 이번 항해에서 91 비행대의 나카지마 B5N "케이트" 어뢰 폭격기 10대와 가와사키 Ki-3 복엽기 훈련기 6대를 탑재했다.[13] 호송선은 8월 25일 싱가포르에 도착했다.[13]
같은 호위 그룹은 9월 11일 싱가포르를 출발하는 HI-74 호송대를 보호했다. 9월 17일 00시 37분, ''운요''는 바브가 발사한 어뢰 2발을 맞았는데, 한 발은 엔진실에 맞아 엔진이 파괴되었고, 다른 한 발은 조타실에 맞았다.[13] 밤새 폭풍이 불었고 파도가 항공모함의 선미를 강타하여 내부 격벽이 붕괴되었다.[13] 07시 30분까지 ''운요''는 우현으로 심하게 기울어졌고 승무원들은 배를 버리라는 명령을 받았다.[13] 이 항공모함은 25분 후, 홍콩에서 220nmi 떨어진 동남쪽, 지점에서 침몰했는데, 761명의 생존자가 호위함 2척에 의해 구조되었다.[13] 배에 탑승한 승객 수가 자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사망자 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운요''는 45명의 장교와 781명의 승무원을 태웠다고 보고했지만, 일부 자료에 따르면 총 1,000명의 승무원과 승객을 태웠다고 한다.[13] 다른 자료에 따르면 그녀는 약 1,000명의 승객을 태웠으며 그 중 800명이 사망했다.[13]
3. 특징 및 제원
운요는 원래 미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건조된 일본 우선 회사 (NYK)의 ''닛타마루''급 여객선 ''야와타마루''였다. 1939년 10월 31일에 진수되었고 1940년 7월 31일에 완공되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태평양 항로에 투입되었으며, 1941년 10월 일본 제국 해군에 징발되어 전쟁 포로 수송 등에 사용되었다. 이후 구레 해군 공창에서 호위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1942년 8월 31일 ''운요''로 개명되었다.[7]
개조를 통해 플러시 데크형 항공모함이 되었으며,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 항목 | 값 |
|---|---|
| 전장 | 180.24m |
| 선폭 | 22.5m |
| 흘수 | 8m |
| 넓이 | 201.43m |
| 갑판 길이 | 172m |
| 기본 배수량 | 17830ton |
| 만재 배수량 | 20000ton |
| 추진 | 터빈 4기, 25200shp 엔진 |
| 최대 속도 | 21노트 |
| 항해 속도 | 18노트 |
| 승무원 | 850명[11] |
3. 1. 구조
미쓰비시 중공업의 나가사키 조선소에서 건조된 ''닛타마루''급 여객선 ''야와타마루''는 일본 제국 해군에 의해 징발되어 구레 해군 공창에서 호위 항공모함으로 개조된 후 ''운요''로 개명되었다.[7]''다이요''급 항공모함은 플러시 데크 구성을 가졌으며, 기준 배수량 약 18116118.01kg, 정상 배수량 약 20320940.00kg의 배수량을 기록했다. 전체 길이는 약 180.14m였고, 너비는 약 22.25m, 흘수는 약 7.62m였다.[9] 비행 갑판은 길이가 약 171.91m이고 너비는 약 23.47m였다. 중앙선에 두 개의 항공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약 약 91.44m 길이의 단일 격납고를 가지고 있었다.[10] ''운요''는 예비기를 포함하여 총 30대의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었지만,[3] 어레스팅 기어는 장착되지 않았다.[10]
개조 후 함선의 속도는 21.4kn로 제한되었으며, 18kn의 속도로 8500nmi의 항속 거리를 가졌다.[1] ''운요''의 승무원은 총 850명의 장교와 사병으로 구성되었다.[11]
함선에는 4개의 2연장 마운트에 8문의 식 89형 다목적포가 장착되었다. 경(輕) 대공 무장은 4개의 2연장 마운트에 8문의 식 96형 경(輕) 대공포로 구성되었다. 1943년 초, 2.5cm 마운트가 증강되었고, 21형 조기 경보 레이더가 장착되었다. 다음 해에는 ''운요''의 경(輕) 대공 무장이 총 64문으로 증가했다.[12]
3. 2. 무장
이 함선에는 선체 측면에 있는 스폰슨에 4개의 2연장 마운트에 8문의 12.7cm 89식 다목적포가 장착되었다.[1] 함선의 경대공 무장은 4개의 2연장 마운트에 8문의 2.5cm 96식 경대공포로 구성되었으며, 이 또한 선체 측면의 스폰슨에 장착되었다.[1] 1943년 초, 4개의 2연장 2.5cm 마운트가 3연장 마운트로 교체되었고, 4개의 3연장 마운트가 추가로 설치되었다.[1] 또한 당시 비행 갑판에 접이식으로 설치된 21형 조기 경보 레이더를 장착했다.[1] 다음 해에는 운요의 경대공 무장이 총 64문으로 증가했다.[12]3. 3. 탑재 항공기
운요는 예비기를 포함하여 총 30대의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었지만,[3] 어레스팅 기어는 장착되지 않았다.[10] 1944년 1월, 운요는 즈이호와 함께 0식 수상 정찰기 4기, 0식 관측기 8기, 2식 수상 전투기 6기, 텐잔 함상 공격기 7기(총 25기)를 트럭 정박지로 수송했다.[127]3. 4. 제원
| 항목 | 값 |
|---|---|
| 전장 | 180.24m |
| 선폭 | 22.5m |
| 흘수 | 8m |
| 넓이 | 201.43m |
| 갑판 길이 | 172m |
| 기본 배수량 | 17830ton |
| 만재 배수량 | 20000ton |
| 추진 | 터빈 4기, 25,200마력 엔진 |
| 최대 속도 | 21노트 |
| 항해 속도 | 18노트 |
| 무장 | 4연장 120mm 대공포, 30연장 25mm 대공포 |
| 승무원 | 747명 |
참조
[1]
서적
Watts & Gordon
[2]
간행물
2017-04-11
[3]
서적
Stille
[4]
서적
Tate
[5]
웹사이트
Lloyd's Register 1941–42
https://plimsoll.sou[...]
Lloyd's of London
2015-11-06
[6]
서적
Jentschura, Jung & Mickel
[7]
서적
Polmar & Genda
[8]
서적
Stille
[9]
서적
Jentschura, Jung & Mickel
[10]
서적
Peattie
[11]
서적
Chesneau
[12]
서적
Stille
[13]
문서
Tully
[14]
문서
中川努「主要艦艇艦歴表」[[#日本海軍全艦艇史]]資料篇
[15]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16]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17]
문서
[[#海軍造船技術概要]]
[18]
문서
[[#田村2004]]
[19]
문서
[[#畑中2005]]
[20]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21]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22]
문서
[[#海軍造船技術概要]]
[23]
문서
[[#昭和造船史1]]
[24]
문서
[[#日本航空母艦史]]
[25]
문서
「あ号作戦前後の対空兵装強化と戦訓改正」表B あ号作戦直前に空母の最大速力、航続距離、満載重油搭載量(昭和19年5月調査)、[[#日本空母物語]]
[26]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27]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28]
문서
「航空母艦 一般計画要領書 附現状調査」
[29]
문서
[[#田村2004]]
[30]
문서
[[#達昭和17年8月]]
[31]
문서
[[#S17-05呉鎮日誌(4)]]
[32]
문서
[[#空母二十九隻]]
[33]
문서
[[#大内、特設|特設艦船入門]]
[34]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
[35]
웹사이트
日本郵船と大阪商船が 戰時中喪つた豪華船 氷川、高砂、蓬莱三隻殘すのみ
https://hojishinbun.[...]
Hawaii Times, 1946.10.18
2024-01-23
[36]
문서
空母二十九隻
[37]
문서
編制(昭和19年1月31日現在)
[38]
문서
大内、特設|特設艦船入門
[39]
문서
福井著作11|日本特設艦船物語
[40]
문서
護衛空母入門
[41]
문서
S17-05呉鎮日誌(4)
[42]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
[43]
문서
大内、特設|特設艦船入門
[44]
문서
空母二十九隻
[45]
문서
大内、特設|特設艦船入門
[46]
문서
野元、航母(2013)
[47]
문서
空母二十九隻
[48]
문서
日本空母物語
[49]
문서
大内、特設|特設艦船入門
[50]
웹사이트
日本郵船新優秀船 新田丸處女航海 明春四月ホノルルへ
https://hojishinbun.[...]
Nippu Jiji, 1939.11.02 Edition 02
2024-01-23
[51]
문서
内令昭和16年4月(5)
[52]
문서
福井著作11|日本特設艦船物語
[53]
문서
日本空母物語
[54]
웹사이트
郵船の三豪華船 横濱・桑港間航路に變更
https://hojishinbun.[...]
Singapōru Nippō, 1939.10.27
2024-01-23
[55]
문서
日本空母物語
[56]
문서
大内、特設|特設艦船入門
[57]
문서
日本空母物語
[58]
웹사이트
琉球の島影を右手に "主席船"黒潮を切る 随員一同・極めて元氣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41.06.16
2024-01-23
[59]
웹사이트
世紀の歡送を後に 八幡丸・友邦日本へ 汪主席 晴れの上海出航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41.06.15
2024-01-23
[60]
웹사이트
汪精衛主席 訪日の途へ
https://www2.nhk.or.[...]
2024-01-23
[61]
웹사이트
擧國歡迎の神戸へ 汪首席・訪日第一歩 褚大使と船上、固き握手
https://hojishinbun.[...]
Manshū Nichinichi Shinbun, 1941.06.17 Edition 02
2024-01-23
[62]
웹사이트
訪日の責任果し 汪首席帰途へ
https://www2.nhk.or.[...]
2024-01-23
[63]
문서
福井著作11|日本特設艦船物語
[64]
문서
内令昭和16年11月(5)
[65]
간행물
昭和16年11月25日(発令11月2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756号
https://www.jacar.ar[...]
[66]
간행물
昭和16年12月10日(発令12月1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766号
https://www.jacar.ar[...]
[67]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
[68]
문서
丸写真第4巻|写真日本の軍艦第4巻
[69]
간행물
昭和17年5月11日(発令5月1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57号
https://www.jacar.ar[...]
[70]
문서
木俣空母
[71]
문서
pp.42-43〔 廿四日二三〇〇|(宛略)|呉鎭機密第九三八番電 八幡丸及第九驅逐隊二小隊行動豫定左ノ通 七月二十五日豊後水道出撃一七〇〇沖島爾後接岸航行足摺岬ヲ經テ二十六日〇一三〇(距岸三浬)一〇三〇神子元島、一二二〇浦賀水道、洲崎付近使用速力二〇節|無電 〕、pp.30-31(経過概要、昭和17年7月25日)(略)〔 二、伊二七(潜水艦)八幡丸 9dg二小隊 豊後水道出撃掩護(以下略) 〕
[72]
문서
p.29〔 二九(天候略)(中略)一、潮、漣、驅潜一三、一四、一五 澤風 出港/沖風、掃十八、朝潮 入港(以下略) 〕
[73]
문서
pp.44-45(経過概要、17-8-5日)(天候略)〔 一、一七〇〇秋風「ラバウル」出港(二空整備員収用ノタメ)(以下略) 〕
[74]
문서
pp.45-46(経過概要、17-8-6日)(天候略)〔 一、零戰一五 艦爆一六(二空)「ラバウル」ニ進出ヲ了ス(略)四、二一二〇秋風「ラバウル」入港(二空先発基地員進出)(以下略) 〕
[75]
문서
p.10(経過概要、呉鎭17-8-16)(天候略)〔 一、明十七日第一戰隊(武藏缺)春日丸及第七驅逐隊ノ出撃ニ際シ呉防戰及佐伯空ヲシテ協力セシム(以下略) 〕、p.9〔 (ハ)八月十七日 1S(武藏欠)春日丸 7dg 尾上丸 豊後水道出撃 〕
[76]
문서
p.53(呉鎭17-8)〔 四.参考(イ)部下艦船(特設ヲ含ム)ノ行動 〕
[77]
문서
p.35〔 十八日一二〇五 呉鎭長官|呉防戰司令官(1F長官)(八幡丸艦長)(鳩艇長)|呉機密第一八一二〇番電 電令作第三六號 一、八幡丸ハ八月廿日ヨリ末日迄宇佐沖ヲ基地トシ着艦訓練ヲ實施ス/二、海上防備部隊指揮官ハ鳩ヲ警戒艦トシテ右ニ協力セシムベシ|無電 〕、p.20(呉鎮機密第一八一一〇五二三番電、電令第三六号)
[78]
문서
pp.41-42〔 廿六日 八幡丸艦長|(宛略)|八幡丸機密第二六〇九四五一八番電 本艦今次ノ着艦訓練終了|無電 〕-〔 廿六日一五四八 呉鎭長官|呉防戰司令官(1F長官)(八幡丸艦長)(鳩艇長)|電令第三八號 電令第三六號ニ依ル任務(着艦訓練警戒艦派出ノ件)ヲ解ク|無電 〕
[79]
문서
画像45、内令第千六百十四號 艦艇類別等級別表左ノ通改正ス 昭和十七年八月三十一日 海軍大臣 嶋田繁太郎 軍艦、航空母艦ノ項中「飛鷹」ノ下ニ「、大鷹、雲鷹」ヲ加フ。昭和17年7月〜9月 内令 3巻/昭和17年8月分(4)(C12070164700)画像5も同一内容。
[80]
문서
pp.12-13〔 内令第千六百二十四號 汽船 八幡丸 右特設航空母艦トシ呉鎮守府所管ト定メラレタル處之ヲ解カレル|汽船 春日丸 右特設航空母艦トシ佐世保鎮守府所管ト定メラレタル處之ヲ解カレル|昭和十七年八月三十一日 海軍大臣 嶋田繁太郎 〕-〔 内令第千六百二十五號 軍艦 雲鷹 右本籍ヲ呉鎮守府ト定メラル|軍艦 大鷹 右本籍ヲ佐世保鎮守府ト定メラル|驅逐艦 照月 右本籍ヲ佐世保鎮守府ト定メラル|驅逐艦 高波 右本籍ヲ舞鶴鎮守府ト定メラル(中略)|昭和十七年八月三十一日 海軍大臣 嶋田繁太郎 〕
[81]
간행물
○官房機密第一〇九四六號 本年八月三十一日現在左記上欄各艦ノ職名ヲ有スル者ハ特ニ發令セラルルモノノ外別ニ辭令ヲ用セズシテ下欄ノ相當職員ニ補命セラレタル義ト心得ベシ 昭和十七年八月三十一日 海軍大臣 記|特設航空母艦 春日丸|航空母艦 大鷹|同 八幡丸|同 雲鷹
https://www.jacar.ar[...]
昭和17年8月31日(月)海軍公報(部内限)第4182号 p.43
[82]
문서
p.49〔 卅一日〇〇〇〇 軍令部總長|卅一日〇四二九 各鎭、各警 各艦隊長官|大海機密第三一〇〇〇〇七五番電 八月三十一日戰時編制中左ノ通改定セラル(八月二十二日大海機密第二〇一一二〇三五番電及八月二十八日大海機密第二八一八一五四七番電内報)一、春日丸及八幡丸ヲ聯合艦隊附属ノ儘大鷹(空母)及雲鷹(空母)ニ改ム/二、[[霞 (朝潮型駆逐艦)|霞]]及[[不知火 (陽炎型駆逐艦)|不知火]]ヲ戰時編制ヨリ除ク/三、伊號第三四潜水艦、伊號第三五號潜水艦及[[さんとす丸]]ヲ以テ呉潜水戰隊ヲ編制呉鎭守府部隊ニ編入/四、金鈴丸ヲ海軍省給油ヨリ除キ第八艦隊給油ニ加フ 其ノ他略|無電 〕
[83]
문서
pp.20-21〔 三十一日一五五〇雲鷹艦長(宛略)雲鷹機密第三一一五五〇九八番電 本艦及磯波行動豫定左ノ通變更ス 沖ノ島三十一日一二〇〇發(距岸八浬)一七〇〇潮岬(距岸三浬)二一〇〇神子元二日〇六三〇横須賀一三〇〇 〕
[84]
문서
p.7〔 (イ)九月一日 雲鷹、磯波、瑞鳳、6dg出撃 〕
[85]
문서
p.21〔 二(天候略)(中略)一、伊一、六潜、旗風 出港/三二、三三、三四驅潜、伊一、二、六、一八潜、磯波、高波、楡、葦、雲鷹入港(以下略) 〕
[86]
문서
p.24〔 四(天候略)(中略)一、三二、三三驅潜、磯波、秋雲、雲鷹、伊三、四、六潜出港/楡葦、伊三、四、六入港(以下略) 〕
[87]
서적
186頁
[88]
문서
p.40〔 十七日一一三〇佐防司令|第二三部隊(呉防戰司令官 第一部隊)|伯防機密第一七一一三〇番電(略)二、雲鷹及暁雷(E)〇八〇〇沖ノ島着北上ノ予定/三、サンチヤゴ丸午前深島着北上ノ予定 〕
[89]
문서
p.8〔 (ヘ)九月十八日 雲鷹、暁、雷、旭東丸出撃 伊良湖 さんちえご丸入泊 〕
[90]
문서
p.2〔 大海一、二部長|各鎭参謀長、三艦隊、一艦隊、二艦隊、聯合艦隊、十一空艦隊八艦隊各参謀長|發 大海一、二部長/一、三艦隊ニ對スル補充左ノ通手配中 (一)機械(雲鷹ニ依リ)艦爆約一〇、艦攻約二〇外ニ航本既報ノ中ヨリ艦戰一〇以上 計四〇機以上/(二)搭乗員組(括弧外ハ翔鶴、内ハ瑞鶴)戰四(二) 爆六(三) 攻四(五)外ニ基地隊ニ殘留中ノモノヲ送致ス/二、第三艦隊ニ對スル補充 筑城、鹿屋空等ノ爲十五日附大鷹ハ艦爆4/1ノミトシ雲鷹ハ飛行機搭載ヲ削除ノコトニ手續中/三、大鷹ノ殘リ艦爆ハ二空ニ艦戰ハ適時内地ニ送致アリ度 〕
[91]
서적
大鷹、雲鷹の飛行機輸送(十一月)
[92]
간행물
昭和18年2月1日(発令1月28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45号 p.7
https://www.jacar.ar[...]
[93]
간행물
昭和18年4月15日(発令4月14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93号 p.40
https://www.jacar.ar[...]
[94]
문서
p.4〔 (一)第五戰隊ハ引續キ前進部隊本隊ニ属シ「トラツク」ニ在リテ警戒待機シ鋭意戰力向上充實ニ努メアリシ處北方作戰参加ノ豫定ヲ以テ急速整備修理ヲ命ゼラレ五月八日大和雲鷹冲鷹2dg(五月雨)潮夕暮ト共ニ「トラツク」發佐世保ニ向ヘリ 〕
[95]
문서
pp.11-12〔 八(天候略)一.一三〇〇 5S 大和 冲鷹 雲鷹 長波 潮 五月雨 夕暮 内地ニ向ケ「トラツク」發/二.15dg(親潮黒潮陽炎)「コロンバンガラ」輸送ノ皈途「ブラツケツトストレイト」ニテ触雷(推定)沈没 〕
[96]
문서
p.5〔 八日内地回航部隊(5S 大和、雲鷹、冲鷹)「トラツク」出撃時27dg(時雨)ハAdB信令第二六五號ニ依リ其ノ前路対潜掃蕩任務ニ從事シタル後九日「トラツク」歸投 2dg(五月雨)夕暮ハGF電令作第五四九號ニ依リ同部隊ノ警戒任務ニ從事横須賀ニ回航 夕暮十三日一五四〇横須賀着 2dg(五月雨)ハ尓後5S長波ト共ニ同日一九〇〇横須賀着2dg(五月雨)ハ尓後GF電令作第五五八號ニ依リHPBニ編入セラレ同方面作戰任務ニ從事ス 〕
[97]
서적
[98]
서적
飛鷹の曳航(六月十一日)
[99]
문서
昭和18年6月10日
[100]
문서
p.28〔 (二)五十鈴ハ出撃準備トシテ内海西部ニ於テ訓練作業實施呉ニ於テ整備補給中ノ處八日〇九〇〇呉発、横須賀ニ回航ノ途、GF機密第一〇二二三〇番電ニ依リ十一日〇六〇〇飛鷹救難曳航作業ニ從事十二日〇五三〇横須賀着/又4F機密第〇二一五四三番電及14S機密第〇三〇四四五番電ニ依リ「ナウル」増援人員器材ヲ搭載十六日一四三〇横須賀発二十一日一四〇〇「トラツク」着 〕
[101]
문서
p.26〔 (3)十六日3S司令官指揮ノ下ニ7S 2sf其ノ他ト共ニ横須賀発二十一日「トラツク」ニ進出回航及輸送ノ任務ヲ完了セリ 〕
[102]
문서
p.5〔 (五)六月十五日前進部隊ニ編入セラレ六月十六日第三戰隊司令官指揮ノ下ニ 第三戰隊 第七戰隊(最上欠)第二航空戰隊(龍鳳)五十鈴 雲鷹 沖鷹 第七駆逐隊 第十六駆逐隊(雪風) 第二十七駆逐隊(白露欠) 浜風 谷風 涼風 新月 清波ト横須賀發二十一日「トラック」着 〕
[103]
문서
p.9〔 16日、27dg(白露欠)ハGF電令作第593号ニ依リ3S(指揮官)ノ指揮下ノ下ニ3S 7S(最上欠)2sf(龍鳳)五十鈴 雲鷹 冲鷹 7dg 16dg(雪風)浜風 谷風 涼風 清波 新月 等ト共ニ横須賀発、21日「トラック」着 〕
[104]
서적
雲鷹の艦爆輸送(七月)
[105]
문서
昭和18年7月10日
[106]
문서
p.3〔 (一)2sd司令官ハ雲鷹7dg(曙)ヲ指揮、千鳥眞鶴ヲ區處シ七月三十一日横須賀發八月一日GF主隊ニ合同警戒隊指揮官トナリ同五日「トラツク」着同日附2sd(長良白露)KdB本隊ニ編入セラル 〕
"#S1806二水戦日誌(2)"
[107]
문서
p.81〔 三一(天候略)一.2sd(長良)雲鷹7dg(曙)〇七三〇「トラツク」ニ向ケ横須賀発(略)一.2sd司令官ハ長良雲鷹7dg(曙)ヲ指揮シGf電令作第六四八號ノ任務ニ従事横須賀発 〕
"#S1806二水戦日誌(1)"
[108]
문서
p.31〔 …七月三十日呉發長濱沖ニ假泊ノ上翌三十一日假泊地發「トラツク」ニ向フ「トラツク」進出中ノ軍隊區分左ノ通 〕
"#S1712五戦隊日誌(2)"
[109]
서적
トラック島での対潜警戒(七〜八月)
"#木俣空母"
[110]
문서
p.39〔 (一)第五戰隊ハ主隊前衛トシテ七月三十日呉發「トラツク」ニ進出 八月五日着同日機動部隊ニ編入セラレ第三艦隊長官ノ指揮下ニ入ル 〕
"#S1712五戦隊日誌(2)"
[111]
간행물
昭和18年8月21日(発令8月18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195号 p.39
http://jacar.archive[...]
[112]
간행물
昭和19年5月1日 海軍公報(部内限)第4677号 pp.7-8
http://jacar.archive[...]
[113]
서적
"#木俣空母"
[114]
문서
pp.38-39〔 十三日〇七一〇 呉防戰司令官|十三日〇八〇五 豊後防備部隊 伯空司令〔隼鷹 雲鷹 7dg司令 呉鎭長官 宿毛空司令 50Sf司令官〕|呉防戰機密第一三〇七一〇番電 電令作第三六三號 一.艦隊〔空母二隻、駆逐艦一隻〕十四日〇八〇〇深島出撃尓後航路概ネ一四〇度速力二四節(以下略) 〕
"#S18.06呉防戦日誌(7)"
[115]
문서
pp.30-31〔 一四(天候略)(略)一.隼鷹 雲鷹 玉波 曙 深島出撃(以下略) 〕、p.42〔 一四日〇六一五 隼鷹(宛略)隼鷹機密第一五〇六一五番電 隼鷹 雲鷹 曙 玉波「トラック」ニ向ケ佐伯出撃 〕
"#S18.06呉防戦日誌(8)]], [...]
[116]
문서
p.8〔 (4)第三十二驅逐隊(早波涼波藤波)内海西部ニ在リテ待機整備(出撃準備)十二日宇品ニ回航丁三號輸送部隊ニ編入十三日佐伯ニ回航十五日回航十五日同發二十日「トラツク」着陸軍甲支隊ヲ移載(以下略)/玉波(略)十四日隼鷹雲鷹ヲ護衛同發十九日「トラツク」着爾後「トラツク」ニ在リテ待機 〕
"#S1806二水戦日誌(4)"
[117]
간행물
昭和18年10月22日(発令10月2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245号 p.32
http://jacar.archive[...]
[118]
문서
p.4
"#S1804十一水戦日誌(5)"
[119]
문서
pp.84-85
"#S1806二水戦日誌(4)"
[120]
문서
p.14(昭和18年11月5日)、p.3(昭和18年11月5日)
"#S18.11.01-11.15経過概[...]
[121]
문서
p.45〔 利根ハ(略)途中5日ヨリ被雷艦隼鷹ヲ曳航11月6日呉入港… 〕
"#S1701八戦隊日誌(7)"
[122]
서적
沖鷹沈没(十二月四日)
"#木俣空母"
[123]
서적
◇冲鷹(旧名:新田丸)
"#福井著作11|日本特設艦船物語"
[124]
서적
米人捕虜も運命を共に(冲鷹VSセイルフィッシュ)
"#野元、航母(2013)"
[125]
문서
pp.7-10〔 別表第二 〕
"#護衛作戦概要(別表1-3)"
[126]
문서
p.15〔 六日薄雲駆逐艦長|六日一一〇五(宛略)本艦GF電令作第八七〇號ニ依ル行動豫定左ノ通 一月八日〇八三〇佐伯湾出撃十三日一二三〇「マニラ」着補給(四〇〇)十四日出港十八日一三〇〇昭南着 〕
"#S1809一水戦日誌(4)"
[127]
서적
"#木俣空母"
[128]
문서
p.13〔 19-1|19|1037|雲鷹大宮島ノESE140°附近ニテ敵(潜水艦)ノ雷撃ヲ受ク (司令官/2Sd指揮能代、瑞鳳、雲鷹 21dg《若葉、初霜》及早波 一月十七日「トラツク」発横須賀ニ向ケ囘航中)|GKEG附属 〃|前部ニ 〃 三本命中前部彈庫ヨリ前方ニ浸水波除ヨリ前部垂下セルモ主機械ハ使用可能ノ模様 SP4ニテ「サイパン」ニ向ヒ1130/20同地着 〕
"#S19.01.16-01.27経過概[...]
[129]
문서
p.5〔 能代明石ニ横付応急修理完成18日本職能代瑞鳳雲鷹五十鈴32dg(早波)21dg(若葉初霜初春)ヲ率ヰ横須賀ニ向ケ「トラック」発(五十鈴初春16日発先行) 〕
"#S1812二水戦日誌(3)"
[130]
문서
p.6(昭和19年1月19日)
"#S1901護衛対潜|昭和19年1月、[...]
[131]
문서
p.54〔 19日1100(将旗)2sd司令官|北緯12度52分東経146度26分ニテ雲鷹雷撃ヲ受ク前部ニ魚雷3命中(略) 〕
"#S1806二水戦日誌(3)"
[132]
문서
p.6(昭和19年1月20日)
"#S1901護衛対潜|昭和19年1月、[...]
[133]
문서
p.5〔 19日雲鷹雷撃ヲ受ケ瑞鳳若葉ハ分離横須賀ニ先行セシメ能代32dg(早波)初霜ニテ雲鷹警戒シ「テニアン」航空隊及五特根哨戒艇ノ警戒協力ヲ得翌20日「サイパン」着能代ニ繋留、初霜早波ハ湾外移動哨戒セシム翌21日海風来援ス 〕
"#S1812二水戦日誌(3)"
[134]
문서
p.9〔 海風(略)19日雲鷹救難ノ為救難隊搭載ノ上「トラック」発翌20日「サイパン」着21日以後27日迄五特根司令官ノ命ヲ受ケ雲鷹警戒対潜哨戒隊指揮官トシテ「サイパン」港外ノ哨戒ニ従事セリ 〕、p.58〔 二〇日(司令)24dg(宛略)一.一七〇〇「サイパン」着ノ予定/二.救難隊兵曹長以下八名、六三〇噸排水ポンプ一(重量三噸)搭載中 〕
"#S1806二水戦戦日誌(3)]], [...]
[135]
문서
p.56〔 19日2142サチGF|雲鷹損傷状況調査ノ為GF司令部附塩山技術大佐ヲ「サイパン」ニ派遣セラル(1月20日「トラック」発航空便) 〕
"#S1812二水戦日誌(3)"
[136]
문서
p.5〔 21日命ニ依リ警戒及処理ヲ五特根ニ引継ギ2sd(能代)32dg(早波)横須賀ニ向ケ「サイパン」発 〕、pp.10-11〔 (3)32dg(早波)…十八日2sd(能代)外五隻ト共ニ横須賀ニ向ケ「トラツク」発/十九日雲鷹雷撃ヲ受ケ早波ハ初霜ト協力敵潜攻撃附近油ノ浮上セルヲ認ムルモ効果不明引続キ攻撃掃蕩ニ従事/二十日制圧ヲ止メ「サイパン」着初霜ト共ニ移動哨戒ニ従事/二十一日哨戒ヲ海風ト交代能代ト共ニ横須賀ニ向ケ発/二十四一横須賀着入渠修理整備ニ従事 〕
"#S1812二水戦日誌(3)], 동부[...]
[137]
문서
p.12〔 一月二十二日〇七一五皐月駆逐艦長(宛略)發皐月駆逐艦長「サイパン」着 〕
"#S1812三水戦日誌(6)"
[138]
문서
p.32〔 二十四日(長官)GF(宛略)GF機密第二四一八〇二番電 GF電令作第九一六號 一.HPB、NTB、UNB各指揮官ハ24dg(海風)7dg(潮曙)皐月ヲシテ雲鷹艦長ノ指揮ヲ受ケ内地着迄同艦ノ警戒ニ任ゼシムベシ(略)三.UNB指揮官ハ初霜ヲシテ雲鷹「サイパン」出港後適宜護衛ニ協力シ「トラツク」ニ歸投セシムベシ 〕
"#S1809一水戦日誌(4)"
[139]
문서
pp.34-36〔 一月二十六日 雲鷹艦長(宛略)機密第261345番電 發雲鷹艦長 一.二十六日應急補強工作概ネ完了二十七日早朝 潮曙初霜皐月ヲ率ヰPS発NAA回航ニ回航実速九節ヲ得ラルヽ見込但シ天候敵潜出現状況ニ依リテハ回航地ヲ変更スルコトアルベシ 二.予定航路(別電) 三.途中対潜飛行警戒依頼ス(以下略) 〕
"#S1812三水戦日誌(6)"
[140]
문서
pp.33-34〔 一月二十六日〇九三〇皐月駆逐艦長(宛略)機密第二六〇九三〇番電發皐月駆逐艦長 皐月戦斗概報二四日(中略)左記ニ依リ敵潜水艦ノ轟沈概ネ確実ト認ム(以下略) 〕
"#S1812三水戦日誌(6)"
[141]
문서
S1809一水戦日誌(4)
[142]
문서
S1812三水戦日誌(6)
[143]
문서
S1812高雄日誌(1)
[144]
문서
S1812高雄日誌(1)
[145]
문서
S1812高雄日誌(2)
[146]
문서
S1812二水戦日誌(4)
[147]
문서
S19.02.01-02.14経過概要
[148]
문서
S1812高雄日誌(2)
[149]
문서
S1812高雄日誌(2)
[150]
문서
S1812高雄日誌(2)
[151]
문서
S1809一水戦日誌(4)
[152]
문서
S1812高雄日誌(1)
[153]
문서
S1809一水戦日誌(4)
[154]
문서
S1809一水戦日誌(4)
[155]
문서
S1812高雄日誌(1)
[156]
문서
S1812高雄日誌(1)
[157]
문서
S1809一水戦日誌(4)
[158]
문서
S1812高雄日誌(1)
[159]
문서
S1812高雄日誌(2)
[160]
문서
S1812高雄日誌(2)
[161]
간행물
昭和19年2月1日(発令2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310号 p.6
https://www.jacar.ar[...]
[162]
간행물
昭和19年3月1日(発令3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352号 p.42
https://www.jacar.ar[...]
[163]
간행물
昭和19年7月5日(発令7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526号 p.24
https://www.jacar.ar[...]
[164]
문서
S1904雲鷹日誌(3)
[165]
문서
S19.04一水戦日誌(6)
[166]
문서
S19.04一水戦日誌(6)
[167]
문서
S19.04一水戦日誌(6)
[168]
문서
S19.04一水戦日誌(6)
[169]
문서
S1904雲鷹日誌(3)
[170]
서적
木俣空母
[171]
문서
S1908第1海上護衛隊(1)
[172]
문서
S1908第1海上護衛隊(1)
[173]
문서
S1904雲鷹日誌(3)
[174]
문서
S1904雲鷹日誌(3)
[175]
문서
S1904雲鷹日誌(3)
[176]
문서
昭和19年9月、護衛対潜
1944-09-17
[177]
문서
S1904雲鷹日誌(3)
[178]
문서
S1904雲鷹日誌(3)
[179]
문서
S1904雲鷹日誌(3)
[180]
문서
S1904雲鷹日誌(3)
[181]
문서
S1904雲鷹日誌(3)
[182]
문서
S1904雲鷹日誌(3)
[183]
문서
S1908第1海上護衛隊(2)
[184]
문서
S1908第1海上護衛隊(2)
[185]
문서
内令(秘)昭和19年11月(2)
1944-11-10
[186]
문서
内令(秘)昭和19年11月(2)
1944-11-10
[187]
문서
S17-07呉防戦日誌(3)
[188]
문서
S17-09佐鎮日誌(4)
[189]
문서
S17-04第二海護日誌(3)
[190]
문서
S1801二水戦日誌(5)
[191]
문서
S1801二水戦日誌(6)
[192]
문서
S1801二水戦日誌(6)
[193]
문서
S1704七戦隊日誌(7)
[194]
문서
S1806二水戦日誌(2)
[195]
문서
S1806二水戦日誌(2)
[196]
문서
S1806二水戦日誌(2)
[197]
문서
S1806二水戦日誌(3)
[198]
문서
S1812二水戦日誌(3)
[199]
서적
艦長たちの軍艦史
[200]
간행물
昭和19年12月17日(発令9月17日付)海軍辞令公報(甲)第1671号
C13072102300
아시아역사자료센터
1944-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